1. 2004. 10 : 미국최대의 mobile CP Ztango 인수
  2. 2004. 11 : 최초의 유비쿼터스 뮤직서비스 "Melon" 오픈
  3. 2004년 :국내매출 천억, 순익 백억 예상
  4. 2005년: ..........


벌써 3년이 되었는데.. 회사는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발전하고 있다.

과연 나도 발전했을까? 수많은 사람들과 수많은 경험

그리고 자리매김...

나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

내가 지금 잘하고 있는 걸까?

2004. 11. 15. 22:10

음악쪽 사업부서 사람들은 다들 melon 오픈에 정신이 없다.

서비스 오픈전엔본부장님, 이사님 할것없이저렇게 며칠밤을 뜬눈으로 보내곤 하는데...

사실 이곳에 오기전까지 나는 그런 모습을 별로 본적이 없었다.

이미 나도 몇번이나 경험을 해서 익숙하긴 하지만,

여전히 밤샘 작업은 생각 자체나 실제 경험이나 두렵고 힘든 일이다.

그런데, 참으로 이상한것이 사람의 의지와 집중력인것 같다.

도저히견딜수 없을 것 같은 인고의 시간을 보내고도, 또 저렇게 버티어 내니 말이다.

최초의 Ubiquitous Music Portal !

고생한 만큼 좋은일들이 있겠지..

< 스핀모토로 찍은 컨플팀 좌석 >


<스핀모토로 찍은 음포기 좌석>

Widerthan.com

The Global Wireless Internet Enabler

21 centry Global Dogital Society's New Leader

라는 기둥에 쓰여진 문구가 더욱 파랗게 느껴지는 날 저녁...

2004. 11. 15. 20:13

통상 웹상의 Link 중 80%는 전체 웹페이지중 단지 15%에 해당하는 페이지로 링크가 걸려있다(A.L. 바라바시의 Link 를 읽어보심 됩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웹의 네트워크적 속성을 잘 이용한 검색엔진이 소위 BackLink Algorithm 이라는 기법을 이용한 Google 이다.

최근들어 우리는 우리는 사회곳곳에서 8:2의 법칙같은걸 공공연하게 얘기하는데,이러한 법칙은 사용자의 Keyword 검색 빈도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

즉, 하루에 검색되는 키워드의 빈도를 잘 살펴보면 상위 10~20%의 키워드가 전체 Query의 80%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검색엔진에 후발로 진입하는 사업자는 소위 Coverage라고 불리우는 Web 문서의 Crowling 양이나 정확도를 높이는것도 중요하겠지만, 이 80%의 Needs에 해당하는 20%의 키워드 어떻게 잘 관리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사실 어느것도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다. 다만, 효율성을 따지자면 그렇단 얘기다.

NHN이나 Daum 의 주요 Keyword 에 대한 검색결과는 거의 Art 에 가깝다. 어쩌면 난삽한 웹문서의 나열보다, 어느정도 가공된 그리고 잘 정리되어 걸러진 정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이부분 또한 긍정적인 면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지금 이순간에도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웹페이지와 매우 다양해지고 세분화 되어가는 사람들의 정보 검색 욕구를 이렇게 하나하나 공을 들여 관리한다는 것 또한 쉬운일이 아닐것이다.

어찌보면 우리는 이를 통해서 웹검색이 가지고 있는 양면성을 살펴볼 수 있겠다. 정답이 없는 검색 말이다. 사견으로 검색의 정확도는 완벽할 수가 없다. 그래서 통상 검색엔진을 Tuning 하는 과정은 다분히 경험적(empirical)인 것이다.

2004. 11. 8. 21:45

요즘 Directory 검색에 대해 관심이 있어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그러나, 제리양을 비롯한 몇몇의 사람이 처음 Yellow Page 와 같은 Directory 를 생각해냈을땐 매우 획기적인 발상이었다..

Directory 는 마치 도서관의 10진 분류표처럼 정보를 계층적으로 세분화하여 분류해 놓는 대표적인 Pull 방식의 정보 검색 기법이다.

이 기법이 매우 뒤떨어진 정보 검색 법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보고서를 볼때도, 책을 볼때도, 핸드폰으로 무선인터넷을 접속했을때에도, 우리는 자연스럽게 디렉토리를 이용한다. 인류역사와 함께한 정보검색...이 어찌 중요하지 않다고 할 수 있을까?디렉토리를 항해하는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정보구조와사용자 mental model 을 동질화 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기술의 진화단계에서 보았을때에도 디렉토리는 이후의 검색엔진이나 검색방식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자 그럼, 기술적인 측면에서 볼까?

Directory 는흔희 자료 구조적으로 Tree 구조를 따른 다고 한다.

하지만, Paran 이나 Yahoo 디렉토리를 항해해보라...

분명 다른 category 로 넘어가는 소위 이중 분류를 만나실 수 있다.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Directory 는 Tree (자기 부모와 자신의 id 만으로 구성될 수 있는) 가 아니라 방향성을 가진 Graph 구조를 따른다.

좀더 어려운 용어로 DAG(유향그래프, Directed Acyclic Graph)의 구조를 따른 다고 할 수 있겠다.

Graph 이론은 이후 Network 이론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수학적인 발견이며, 오늘날 Cyworld 와 같은 Network Application 에 모티브를 제공하게 된다...(음 너무 비약이 크군.)

하여튼 디렉토리는 매우 중요하다..주로 문헌정보학과 혹은 정보검색사로 이루어진 각 검색엔진의 디렉토리 웹서퍼들은 오늘도 여러분들이 올린 홈페이지를여기에 분류해야 하나 저기에 분류해야 하나 매우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그러니, 제발 미완성된 홈페이지, 다른 야한 페이지로 엮어놓은 페이지를 올리지말아주시길 바란다.

오늘은 아내가 졸립다고 아우성이다. 다음에 디렉토리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썰을 풀어드리겠다.

2004. 11. 2. 23:39